Kết quả tìm kiếm
Có 82408 kết quả được tìm thấy
82291한국어 선생님과 함께하는 TOPIK 한국어 문법 I

한국어 선생님과 함께하는 TOPIK 한국어 문법 I. 주요 대학 한국어 교재의 문법 사항 정리 | 한국어+중국어 설명으로 선생님과 학생 모두 사용 가능.

82292한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수법: 초급 1(개정판) = Phương pháp giảng dạy ngữ pháp dành cho giáo viên tiếng Hàn - Sơ cấp 1 (Bản có chỉnh sửa)

목차: 1. 모 음; 2. 자 음; 3. 받 침; 4. [명]입니다, [명]입니까?; 5. [동],[형]ㅂ니다/습니다, [동],[형]ㅂ니까/습니까?; 6. [명]이/가; 7. [명]에; 8. [명]도; 9. [명]은/는; 10. [명]을/를 ...

82293한국어 어미의 의미 = Ý nghĩa của vĩ tố trong tiếng Hàn

초급 단계의 필수 문법 101가지를 선정하여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두려움과 막막함을 해소시키고 효율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법 교수용 통합 지침서이다. 현역 교사는 물론이고 한국어교육에 처음 입문을 하는 초보자들도 체계적이고 쉽게 학습자들에게 다가가기 위한 수업 안내서로서 교재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원활한 수업 운용을 위한 방법을 간단 명료하게 제시하고 있다.

82294한국어 어미의 의미 = Ý nghĩa của vĩ tố trong tiếng Hàn

는 한국어 어미 의미 기술의 방법론을 확립하고 개별 어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어미는 통사적 기능 외에도 의미적 기능을 더 가지며 다른 문법 형식과는 달리 그 의미 기능이 매우 복잡하다. 하나의 어미의 기능이 여러 범주에 걸쳐 있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그 의미를 기술할 정교한 방법론이 필요하며 이 책에서는 크게 세 가지 원칙을 가지고 한국어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고자 한다. 첫째, 어미도 어휘 형식처럼 다의어일 수 있다. 둘째, 어미의 의미도 어휘 형식의 의미처럼 복잡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몇 가지 의미 성분으로 성분 분석할 수 있다.

82295한국어 어휘 교육과 글쓰기

1부에서는 한국어 어휘교육의 기본적 교수요목을 이루는 어휘교육의 목적, 한국어 어휘의 특징, 한국어 어휘 목록, 어휘선정 요강, 어휘 학습지도안 작성 등 한국어 어휘 교육에 관한 일반론적 기초 항목을 다루었다. 2부에서는 구체적으로 음절어·합성어·파생어·고유어·다의어·반의어·동음이의어를 각각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해 다루는 한편, 관용어·음성상징어·연어·상위어·하위어와 더불어 표준어와 방언·비속어·존대어와 호칭 등 사회적 특성을 관습화해온 어휘에 대해서도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 3부에서는 1부와 2부에서 익힌 어휘 지식과 교육 내용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실전에서의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어휘력 중심의 글쓰기에 대해 다루었다. 학습자는 어휘 지식을 활용해 글쓰기를 하는 한편 글쓰기를 통해 어휘력을 기르는 이중의 성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이다.

82296한국어 의미론

의미론이란 말 그대로 말의 의미를 따지는 일이다. ‘언어의 음운이나 통사 구조에 대해 말하기는 어려워도 의미는 웬만큼 다 알고 통하는 거지!’라고 자만하는 것에서 시작하여 우리는 같은 말을 사용하면서도 서로를 겉돈다. “내 말은 그게 아닌데….”라고 할 때는 이미 늦어버렸다. 물론 가장 안타까운 일은 서로 오해한다는 것조차 깨닫지 못한다는 일이겠지만 말이다. 학계에서는 전혀 다른 이유로 의미론이 국어학의 핵심 분야에서 밀려나 왔다. 의미란 형태나 소리가 아니어서 시각 혹은 청각으로 지각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다 보니 추상적이고 포착하기 어려운 것으로 치부되었고, 의미론은 ‘언어학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매력적인 학문임을 인정받음에도, 전문 연구자가 적고 언어학이나 국어학의 핵심 분야로 고려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82297한국어 이해 교육론

이 책은 한국어교육 시장의 근래 변화에 주목하며, 한국어 교사로서 교실 수업에서 마주할 학습자들의 질문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국어교육 경력 30여 년 이상인 한국어교육학자들과 한국어학자들이 최적의 교수법으로 답한 책입니다. 특히 필자들이 재외동포재단에서 ‘재외 한글학교 교사를 위한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현장 교사들의 어려움을 설문으로 받아 기획한 내용이어서, 원활한 한국어 교실 수업을 운영할 효과적인 답을 제공한 현장 중심의 책입니다. 한국어 교사들은 이 책을 통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수업 방식을 연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학습자들이 정확한 이해에 도달할 모범 답안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82298한국어 통사론 연구: 유형학적 접근

본서의 목적은 언어유형론과 정신역학론의 관점에서 한국어의 기본 구문들을 연구하여 새로운 모습의 문법 담론을 창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자동 구문 타동 구문 이중 주어 구문 소유 구문 심리 구문 가능피동 구문 비인칭 구문 기능동사 구문을 유형론적 성과를 토대로 재검토하고 새로운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을 제안하려고 한다. 학교문법 표준문법을 위시한 기존 체계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를 정확히 진단하지 않으면 유형론적 관점에서 한국어 구문 연구를 온전히 수행할 수 없다. 이에 한국어가 유형론적 비교 연구 대상으로서 알맞게 수용되어 언어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문법 기술의 방향을 가다듬어 나아갈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종국에는 한국어 통사론의 핵심을 드러내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82299한국어 표현 교육론

어 학습의 궁극적 목표가 상대와의 효율적 의사소통에 있다고 볼 때 이러한 의사소통의 수단이 되는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언어 기술을 익히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언어 교육에서 의사소통의 네 가지 요소를 중요시하는 이유는 이들이 소통을 위한 절대적인 수단이 되기 때문이다. ‘듣기와 읽기’라는 이해 과정을 통해 상대의 생각과 문화를 이해하며, ‘말하기와 쓰기’라는 표현 과정을 통해 생각이나 가치를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82300한국어 피동문의 유형론적 연구 = A study on Korean pasive sentences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이 책에서는 한국어 피동 표지의 의미 기능을 살펴보고, 피동 표지가 갖는 다양한 의미 기능이 언어 유형론적으로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언어 유형론에 따르면 피동 표지가 다양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한국어뿐 아니라 다른 언어에서도 동이라헥 발견되는 현상이다. 이 책에서는 인구어의 재귀 표지와 한국어의 피동 표지의 의미를 중점적으로 비교하였는데, 이는 재귀 표지가 갖는 여러 가지 의미가 피동 표지의 의미들과 상당 부분 겹치기 때문이다. 피동과 전혀 관계없을 것처럼 보이는 재귀가 피동과 관련된 여러 가지 의미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흥미로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