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ết quả tìm kiếm
Có 79708 kết quả được tìm thấy
79581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28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 모자반-박선생

79582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전28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9 박석고개-복시

79583한국사 - 한 걸음 더 = Tìm hiểu thêm về lịch sử Hàn Quốc

여러 모로 전에 없던 책이다. 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고민과 성찰, 제언을 담은 글을 한자리에 담아낸 자체가 희귀하다. 한국사 분야를 들자면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 얼른 떠오르지만 이는 특정 시기 연구에 한정된다. 대학이나 연구소, 학회를 가리지 않고, 고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사를 망라한 필진 또한 범상치 않다. 한국역사연구회의 창립 30주년을 기념하는 책인 만큼 창립에 참여했던 연구자들은 정년을 맞았을 수도 있는 터에 신진 연구자들까지 가세해 한국사 학계의 연구 역량에 관한 바로미터일 수도 있고, 한국사 연구의 현황을 보여주는 지형도일 수도 있으며, 한국사 연구가 나아갈 바를 점쳐 볼 수 있는 나침반이기도 한 책이다.

79584한국어 교사를 위한 속담 관용어가 있는 문화교육 활용서

이 교재는 한국어 교사를 위한 수업 활용서입니다. 이 교재에 선정된 속담과 관용어는 토픽 1회에서 41회까지 5회 이상 나온 것, 국제통용한국어표준교육과정(2단계)애서 제시한 것, 한국어교육 어휘 내용 개발 보고서(2013),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 사전 등에서 공통적으로 나온 것입니다. 속담 7개와 관용어 21개를 10장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습니다. 각 장은 국제통용한국어표준교육모형에서 문화를 문화 지식, 문화 실행, 문화 관점 등으로 나눈 것을 참고하여 문화 지식, 문화 체험, 문화 관점으로 나누어 각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습니다.

79585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 어문 규범

어문 규정이 취하고 있는 기본적인 태도와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에 필요한 내용을 가려 보다 쉽게 어문 규정에 다가설 수 있도록 하였다. 어문 규정의 항목들을 살펴 교육에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규정에 담긴 용례들을 하나하나 살펴 한국어 교육용 어휘로서의 적절성 여부를 가렸다. 규정 자체에 대한 검토와 대안 제시를 꾀하기도 하였고, 용례에 소개된 구체적인 항목들에 대한 현실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기도 하였다.

79586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 첫 문법

이 책은 한국어교육 시장의 근래 변화에 주목하며, 한국어 교사로서 교실 수업에서 마주할 학습자들의 질문에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국어교육 경력 30여 년 이상인 한국어교육학자들과 한국어학자들이 최적의 교수법으로 답한 책입니다. 특히 필자들이 재외동포재단에서 ‘재외 한글학교 교사를 위한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현장 교사들의 어려움을 설문으로 받아 기획한 내용이어서, 원활한 한국어 교실 수업을 운영할 효과적인 답을 제공한 현장 중심의 책입니다. 한국어 교사들은 이 책을 통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수업 방식을 연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학습자들이 정확한 이해에 도달할 모범 답안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79587한국어 교실 수업의 원리와 실제

이 책은 한국어 교사를 위한 안내서이자 지침서이다. 한국어 교사가 실제 교육 현장에서 다루어야 할 교수 학습 관련 사항을 총망라하여,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예를 들어서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했다. 그러므로 이 책을 통해서 예비/초보 한국어 교사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바라고 요구하는 교사상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79588한국어 교안작성 연습 = Thực hành cách biên soạn giáo án tiếng Hàn

한국어수업의 흐름을 이해하고 교실 현장에 적용하기; 한국어교육실습 모의수업을 위한 세부적인 안내서; 현장 경험이 부족한 학부·대학원 전공생들을 위한 기본서.

79589한국어 교육 문법 자료편 = Tài liệu ngữ pháp giảng dạy tiếng Hàn

한국어 교재, 한국어능력시험 등의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난 문법 항목의 자료 간 중복도를 산정하고, 일반 한국어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 자료 말뭉치상의 빈도를 조사하여 한국어 교육에 꼭 필요한 문법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개별 문법 항목의 의미와 사용 맥락을 앎으로써 의사소통 상황에 알맞은 적절한 언어 구사 능력을 기르고 개별 문법 항목의 사용상의 다양한 제약(형태적, 문법적, 담화적 제약 등)을 앎으로써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문법 항목을 범주별로 나누고 개별 항목을 형태적, 의미적, 문법적, 담화적 측면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79590한국어 마스터키(Korean Master Key): 한글 발음 편

공부가 되게 하는 ‘키출판사’에서,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가 나왔습니다. 한글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으로 시작하여, 자음과 모음 하나하나를 친절하게 알려주는 한국어 스타터 교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