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841한국사 - 한 걸음 더 = Tìm hiểu thêm về lịch sử Hàn Quốc
여러 모로 전에 없던 책이다. 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고민과 성찰, 제언을 담은 글을 한자리에 담아낸 자체가 희귀하다. 한국사 분야를 들자면 『해방 전후사의 인식』이 얼른 떠오르지만 이는 특정 시기 연구에 한정된다. 대학이나 연구소, 학회를 가리지 않고, 고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사를 망라한 필진 또한 범상치 않다. 한국역사연구회의 창립 30주년을 기념하는 책인 만큼 창립에 참여했던 연구자들은 정년을 맞았을 수도 있는 터에 신진 연구자들까지 가세해 한국사 학계의 연구 역량에 관한 바로미터일 수도 있고, 한국사 연구의 현황을 보여주는 지형도일 수도 있으며, 한국사 연구가 나아갈 바를 점쳐 볼 수 있는 나침반이기도 한 책이다.
78842한국어 교안작성 연습 = Thực hành cách biên soạn giáo án tiếng Hàn
한국어수업의 흐름을 이해하고 교실 현장에 적용하기; 한국어교육실습 모의수업을 위한 세부적인 안내서; 현장 경험이 부족한 학부·대학원 전공생들을 위한 기본서.
78843한국어 교육 문법 자료편 = Tài liệu ngữ pháp giảng dạy tiếng Hàn
한국어 교재, 한국어능력시험 등의 한국어 교육 자료에 나타난 문법 항목의 자료 간 중복도를 산정하고, 일반 한국어 말뭉치와 한국어 교육 자료 말뭉치상의 빈도를 조사하여 한국어 교육에 꼭 필요한 문법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이 개별 문법 항목의 의미와 사용 맥락을 앎으로써 의사소통 상황에 알맞은 적절한 언어 구사 능력을 기르고 개별 문법 항목의 사용상의 다양한 제약(형태적, 문법적, 담화적 제약 등)을 앎으로써 정확한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문법 항목을 범주별로 나누고 개별 항목을 형태적, 의미적, 문법적, 담화적 측면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78844한국어 발음 어떻게 가르칠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발음 교육론 = Làm thế nào để dạy ngữ âm tiếng Hàn? Lý luận giảng dạy ngữ âm tiếng Hàn dành cho người nước ngoài
한국어 발음 교육론은 제2언어로서 혹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에게 한국어 발음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이론적인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 발음 교수가 서로를 보완하며 발전시켜 나가는 응용 학문 분야이다. 그렇기에 한국어 음성학, 음운론이나 제2언어 발음 습득에 대한 이론적인 토대가 없이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발음 수업을 이끌어 가기가 어렵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발음 교육 경험이 바탕이 되지 않는다면 영어 중심의 발음 습득론이나 발음 교수법을 넘어 한국어 발음 교육론을 체계화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한국어 발음 교육론 분야의 특징을 염두에 두고 이론과 실제의 균형을 고려하면서 이 책의 각 장을 구성하고 집필하고자 하였다.
78845한국어 선생님을 위한 문법 교수법: 초급 1(개정판) = Phương pháp giảng dạy ngữ pháp dành cho giáo viên tiếng Hàn - Sơ cấp 1 (Bản có chỉnh sửa)
목차: 1. 모 음; 2. 자 음; 3. 받 침; 4. [명]입니다, [명]입니까?; 5. [동],[형]ㅂ니다/습니다, [동],[형]ㅂ니까/습니까?; 6. [명]이/가; 7. [명]에; 8. [명]도; 9. [명]은/는; 10. [명]을/를 ...
78846한국어 어미의 의미 = Ý nghĩa của vĩ tố trong tiếng Hàn
초급 단계의 필수 문법 101가지를 선정하여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두려움과 막막함을 해소시키고 효율적으로 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문법 교수용 통합 지침서이다. 현역 교사는 물론이고 한국어교육에 처음 입문을 하는 초보자들도 체계적이고 쉽게 학습자들에게 다가가기 위한 수업 안내서로서 교재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원활한 수업 운용을 위한 방법을 간단 명료하게 제시하고 있다.
78847한국어 어미의 의미 = Ý nghĩa của vĩ tố trong tiếng Hàn
는 한국어 어미 의미 기술의 방법론을 확립하고 개별 어미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어미는 통사적 기능 외에도 의미적 기능을 더 가지며 다른 문법 형식과는 달리 그 의미 기능이 매우 복잡하다. 하나의 어미의 기능이 여러 범주에 걸쳐 있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그 의미를 기술할 정교한 방법론이 필요하며 이 책에서는 크게 세 가지 원칙을 가지고 한국어 어미의 의미를 기술하고자 한다. 첫째, 어미도 어휘 형식처럼 다의어일 수 있다. 둘째, 어미의 의미도 어휘 형식의 의미처럼 복잡할 수 있으며 따라서 몇 가지 의미 성분으로 성분 분석할 수 있다.
78848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어미 - 조사 사전 = Các vĩ tố hay dùng cho người học tiếng Hàn - Từ điển trợ từ
한국어 학습 (학습자용) 어미·조사 사전으로서, 어미·조사 및 관용구, 준꼴 등 900여 개의 표제어를 빈도와 중요도 기준으로 선별하여, 그 갈래와 뜻풀이, 용례, 참고 정보 등을 다루고 있다.
78849한국어 형태론 = Korean morphology
"Korean morphology" contains three efforts to highlight Korean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by giving an independent part-time qualification to mother, the form as a part-of-speech classification standard is abolished and as a result, utilization is not recognized. Next, we applied semantic relations to other areas, especially semantic relations, which were regarded as the main concern of lexical theory. Finally, we have set up syntactic conjugation language in addition to derivational and compound words to highlight the Korean research and mothers participation in word formation.
78850한국어 활용 길잡이: 어미편 = Hướng dẫn sử dụng tiếng Hàn : xét về khía cạnh vĩ tố
한국어에서는 동사나 형용사와 같은 용언이 어간과 어미의 결합형으로 나타난다. 한국어를 배운다는 것은 한국어 용언의 활용을 이해하고 활용형을 필요에 맞게 산출하는 법을 배우는 것도 포함할 것이다. 그런데 한국어 활용의 양상을 규칙화해서 제시한 책도 많지 않으며 활용의 양상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한 책도 드문 형편이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한국어 활용의 규칙의 측면과 활용형의 목록화라는 측면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책을 만들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