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DL SÁCH

Khoa Tiếng Hàn

Duyệt theo:
.jpg

목포권 다도해와 류큐열도의 도서해양문화 : 도서해양학술총서 18

Tác giả: 강봉룡 , 최성락 , 이케다 요시후미 , 김경옥 , 송기태

목포권 다도해와 류큐열도의 도서해양문화는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원과 류큐대 국제오키나와연구소에서 제출한 13편의 글들을 네 개의 부문으로 나누어 구성했다. 총론격인 '도서해양의 재인식'으로 시작하여 '고고역사에 나타난 해상교류', '도서 민속과 의례', '도서해양과 문화콘텐츠'가 그것이다. 분야는 고고ㆍ역사ㆍ민속ㆍ인류ㆍ사회ㆍ생태ㆍ문화콘텐츠 등이 망라되었고, 공간은 한국의 다도해와 일본의 오키나와해역이 교차되었다.

  • Số tập: 18
  • Vị trí lưu trữ: 03 Quang Trung
  • Tổng sách: 1
  • Đang rỗi: 1
.jpg

영산강 뱃길과 포구 연구 : 도서해양학술총서 20

Tác giả: 변남주

영산강 뱃길과 포구 연구는 호남의 젖줄이라는 영산강을 역사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우선 영산강의 옛 물길명을 살피고, 전근대시기 해상과 강상에 있었던 포구를 찾아 역사적으로 정리했다. 해상에서는 생산시설 포구, 강상에서는 대중국 국제포구, 신앙처, 여말 수군활동의 전초기지 등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 Số tập: 20
  • Vị trí lưu trữ: 03 Quang Trung
  • Tổng sách: 1
  • Đang rỗi: 1
.jpg

도서민요의 공동체와 구비연행 : 도서해양학술총서 21

Tác giả: 홍순일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담은 「도서해양학술총서」 제21권 『도서민요의 공동체와 구비전승』.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HK연구교수 홍순일이 저술한 것이다. 저자가 한국연구재단 인문한국(HK)연구소의 지원사업을 수행하면서 저술한 논문을 엮은 것이다. 민속공동체의 구비전승 중 역사의식, 지리의식, 사회의식이 인식이라는 그릇에서 상호교섭될 뿐 아니라, 연행을 통해 표현되는 도서민요를 문화자원으로 보고 연구한다. 섬을 무대로 삶을 영위해 온 섬사람들의 생애사가 융합된 도서민요에 대해 알아나갈 수 있다.

  • Số tập: 21
  • Vị trí lưu trữ: 03 Quang Trung
  • Tổng sách: 1
  • Đang rỗi: 1
.jpg

여영웅: 바다로 나간 최초의 여성영웅 이야기 : 도서해양학술총서 22

Tác giả: 조용호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의 연구 성과를 담은 「도서해양학술총서」 제22권 『여영웅 - 바다로 나간 최초의 여성영웅 이야기』. 고전 단편소설 《이학사전》을 개작하여 1906년 4월 5일부터 대한일보에 연재된 미완성 장편소설 《여영웅》을, 목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용호가 번역하여 원문과 함께 수록한 것이다. 남성을 능가하는 특출한 능력을 지닌 여자 '이형경'이, 모국을 멸망의 위기에서 구해내고 해외의 미개지에 나라를 세워 강국으로 변모시키는 여왕으로 등극하기까지를 따라간다.

  • Số tập: 22
  • Vị trí lưu trữ: 03 Quang Trung
  • Tổng sách: 1
  • Đang rỗi: 1
.jpg

도서해양문화 & 지역문화산업

Tác giả: 이윤선

『도서해양문화 & 지역문화산업』은 민속문화 기반의 도서해양문화와 지역문화산업을 다룬 글들을 모은 책이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약 3년여 동안의 논고들을 중심으로 2006년의 글과 2011년의 보고서 한 편을 같이 묶었다. 민속문화가 어떻게 우리 삶에 적용되어왔는지, 그리고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만나볼 수 있다.

  • Số tập: 13
  • Vị trí lưu trữ: 03 Quang Trung
  • Tổng sách: 1
  • Đang rỗi: 1